[[Git] 소스트리(SourceTree) 기초 사용법]
.git
: .git 폴더. 로컬저장소. git init
를 통해 만들어짐. 커밋, 커밋을 구성하는 객체, 스테이지 모두 여기 저장됨working tree
: 워킹 디렉토리, 작업 디렉토리. .git
폴더(로컬 저장소)를 뺀 나머지 부분작업 폴더
: 워킹 트리 + 로컬 저장소main
: 깃의 기본 브랜치 (예전에는 master)origin
: 깃의 기본 원격 브랜치 별칭HEAD
: 현재 작업 브랜치의 위치.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나 커밋을 가리키는 포인터. 작업의 기준점을 나타냄. 즉,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의 최근 커밋을 가리킴Patch
: 차이를 임시 저장하는 공간.gitignore
: Git 저장소에서 버전 관리를 하지 않아야 하는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지정하는 파일upstream
: 로컬저장소와 연결된 원격저장소를 일컫는 단어HEAD~<숫자>
HEAD~ # HEAD의 첫 번째 부모 (직전 커밋)
HEAD~2 # 첫 번째 부모의 부모 (직전 커밋의 부모)
HEAD~3 # 3단계 위 조상 커밋
HEAD~
은 헤드의 부모 커밋, HEAD~2
는 헤드의 할아버지 커밋을 말한다. HEAD~n
은 n
번째 위쪽 조상이라는 뜻HEAD
에서 <숫자>
번째 조상 커밋을 참조HEAD^<숫자>
HEAD^ # HEAD의 첫 번째 부모 (기본 부모)
HEAD^1 # 첫 번째 부모 (기본 부모) (HEAD^와 동일)
HEAD^2 # 두 번째 부모 (병합 커밋이 있는 경우)
HEAD^
은 똑같이 부모 커밋, HEAD^2
는 두 번째 부모를 가르킨다. 병합 커밋처럼 부모가 둘 이상인 커밋에서만 의미가 있다.HEAD
에서 <숫자>
번째 부모를 참조합니다.<숫자>
는 부모의 번호를 나타내며, 병합 커밋이 아닌 경우 HEAD^
는 HEAD~
와 동일하다.untracked
: 추적 안됨